아리메 가네히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리메 가네히사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오키나와 현립 우라소에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인 야구를 거쳐 2001년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에 입단했다. 2004년 선수 분배 드래프트를 통해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로 이적하여 2012년까지 활동했으며, 이후 은퇴 후 라쿠텐 구단 직원, 코치, 해설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140km 중반의 직구와 다양한 변화구를 구사하는 투수였으며, 2008년에는 팀 내 최다 홀드를 기록하는 등 활약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하시 출신 - 아무로 나미에
아무로 나미에는 1992년 슈퍼몽키즈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로 전향, "Can You Celebrate?" 등 히트곡을 내며 일본 레코드 대상 그랑프리상을 두 차례 수상하고 3천 6백만 장 이상의 음반 판매고를 기록한 일본 대표 가수로 2018년 은퇴했다. - 나하시 출신 - 야기 노리히로
야기 노리히로는 《엔젤 전설》, 《클레이모어》 등을 그린 일본의 만화가로, 1990년 데뷔하여 다양한 잡지에서 작품을 연재했으며, 《창궁의 아리아드네》를 2023년에 완결했다. -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선수 - 나카무라 노리히로
나카무라 노리히로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로 입단하여 타자로 전향, 여러 팀에서 활약하며 홈런왕, 타점왕 등을 수상했고, 메이저 리그에도 도전했으며, 일본 시리즈 MVP를 수상하고 NPB/MLB 통산 2000안타를 달성한 후 은퇴하여 야구 교실을 운영하고 타격 코치를 역임했다. -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선수 - 마이크 존슨 (야구 선수)
마이크 존슨은 캐나다 출신의 야구 선수로, 투수로서 다양한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2008년 대만 CPBL에서 다승왕과 MVP를 수상했고, 캐나다 야구 국가대표팀으로도 활약했으며, 은퇴 후에는 코치로 활동한다. - 2002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이승엽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현 두산 베어스 감독인 이승엽은 KBO 리그 최초 50홈런 및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을 세우며 '국민 타자'로 활약했고, 일본 프로야구 선수 생활 후 KBO 리그로 복귀하여 은퇴, 이후 방송 해설 및 사회 활동을 거쳐 두산 베어스 감독으로 부임했다. - 2002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임창용
임창용은 KBO 리그에서 '창용불패'라는 별명으로 활약하며 최연소 구원왕을 차지하고, NPB와 MLB에서도 활동한 오른손 사이드암 투수 출신 야구 선수이자 코치이지만, 불법 도박 혐의와 여러 논란으로 복잡한 평가를 받는다.
아리메 가네히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 | |
이름 | 아리메 가네히사 |
원어 이름 | 有銘 兼久 |
로마자 표기 | Arime Kanehisa |
출생일 | 1978년 9월 27일 |
출생지 |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시 |
신장 | 180cm |
체중 | 78kg |
포지션 | 투수 |
투구 | 좌투 |
타석 | 좌타 |
프로 입단 정보 | |
드래프트 연도 | 2001년 |
드래프트 순위 | 드래프트 3라운드 |
데뷔 리그 | NPB |
데뷔 날짜 | 2003년 7월 18일 |
데뷔 팀 |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
최종 리그 | NPB |
최종 날짜 | 2012년 6월 5일 |
최종 팀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선수 경력 | |
선수 | 오키나와현립 우라소에 상업고등학교 다이센 규슈 미쓰비시 자동차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2002년 – 2004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05년 – 2012년) TFU 클럽 |
코치 | 시나노 그랑세로스 (2016년 - 2018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25년-) |
코치 역할 | 2군 투수 코치 |
NPB 통계 | |
승-패 | 9승 34패 |
평균 자책점 | 4.53 |
탈삼진 | 394 |
세이브 | 6 |
홀드 | 57 |
2. 프로 입단 전
우라소에 상업고등학교 재학 시절, 2학년 가을에 현 대회 우승을 경험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건설회사인 다이센에 입사했으나, 회사 야구부가 해체되면서 1999년에 규슈 미쓰비시 자동차로 이적했다.
2000년에는 훗날 프로에 진출하는 호아시 가즈유키와 함께 팀의 주축 투수로 활약했다. 호아시가 세이부 라이온스에 입단한 2001년부터는 팀의 에이스 투수를 맡았다. 그 해 팀은 규슈 지역 예선에서 패배했지만, 아리메는 닛산 자동차 규슈의 보강 선수로 선발되어 도시 대항 야구 대회에 출전했다. 도시 대항 1회전에서 전년도 우승팀인 미쓰비시 후소 가와사키를 상대로 선발 등판하여 호투하며 팀 승리에 기여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2001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로부터 3순위 지명을 받고 입단했다. 등번호는 '''13'''번을 배정받았다.
2. 1.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 시절
입단 첫 해인 2002년에는 1군 등판 기회가 없었다. 2003년 7월 18일 오릭스 블루웨이브전(오사카 돔)에서 프로 데뷔 첫 등판을 하여 2/3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다. 이후 1군에서 주로 중간 계투나 좌타자 상대 원포인트 릴리프로 기용되었으나, 승리를 거두지는 못하고 18경기에 등판하여 3패, 평균자책점 7.83의 성적을 남겼다.2004년에는 14경기에 등판했지만, 투구 이닝보다 많은 볼넷을 내주는 등 제구력 난조를 겪었다. 시즌 종료 후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와 오릭스 버펄로스의 합병 과정에서 열린 선수 분배 드래프트를 통해 신생팀인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로 이적하게 되었다. 라쿠텐에서의 등번호는 26번으로 정해졌다.
2. 2.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시절
2005년, 이적 후 첫 등판은 개막 2차전인 지바 롯데 마린스전(지바 마린 스타디움)이었는데, 2회부터 구원 등판했으나 연타를 맞아 즉시 2군으로 강등되었다(이 경기에서 라쿠텐은 0대 26으로 대패했다).[12] 1군 복귀 후 한동안은 중간 계투로 기용되었으나 7월 17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전(삿포로 돔)에서 선발 등판하여 9이닝 5피안타 무실점의 호투를 보여주었다. 이후 선발 로테이션에 정착하여, 같은 해 7월 31일 세이부전(인보이스 SEIBU 돔)에서 프로 데뷔 첫 승리를 첫 완투이자 첫 완봉승으로 장식했다. 이는 라쿠텐 구단 역사상 첫 완봉승이었으며, 아리메 자신도 프로 첫 등판부터 이어져 온 개인 9연패를 끊었다. 이 해에는 37경기에 등판하여 3승 10패로 패전이 많았지만, 12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4번의 완투를 기록하는 등 여름 이후 안정감을 보여주며 개인 최다인 125이닝을 소화했다.2006년 8월 25일 롯데전(풀캐스트 스타디움 미야기)에서는 선발 등판하여 연장 12회까지 혼자 마운드를 지키며 188개의 공을 던져 17탈삼진 1실점의 역투를 펼쳤다(경기는 무승부).[12] 연장 포함 1경기 17탈삼진은 일본 프로 야구 역대 3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시즌 성적은 30경기에 등판하여 2승 6패 4홀드, 평균자책점 4.47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에는 팀 동료인 아사이 히데키, 카와타 스시와 함께 하와이 윈터 리그에 참가하여 호놀룰루 샤크스 소속으로 뛰었다. 리그 최다 타이인 4승과 리그 최다인 48이닝을 던졌고, 평균자책점 2.63(리그 4위)의 좋은 성적을 남겼다.
2007년에는 개막 선발 로테이션에 포함되어 4월 3일 닛폰햄전(풀캐스트 스타디움 미야기)에서 시즌 첫 승리를 거두었다. 이는 그 해 라쿠텐 선발 좌완 투수가 기록한 유일한 승리였다. 그러나 4월 10일 세이부전(풀캐스트 스타디움 미야기)에서 3회를 채우지 못하고 강판되는 등 선발로서 부진하자 이후 중간 계투로 보직이 변경되었다. 6월 8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도쿄 돔)에서는 다카하시 히사노리를 상대로 중전 안타를 쳐내 프로 데뷔 첫 안타를 기록하기도 했다. 7월 11일 소프트뱅크전(기타큐슈 시민 구장)에 선발 등판한 이후로는 시즌 종료까지 와타나베 고키, 야마무라 히로키, 나가이 레이 등과 함께 중간 계투진의 한 축을 담당하며 팀의 상승세에 기여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52경기에 등판하여 1승 8패 8홀드를 기록했고, 패전이 많았지만 개인 최고 평균자책점인 4.17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시즌 내내 1군에 등록되었다.
2008년에는 개막을 1군에서 시작하지 못했지만, 전년도 마무리 투수였던 와타나베 고키가 부상으로 이탈하면서 좌완 셋업맨 역할을 맡게 되었다. 팀의 마무리 투수가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서 종종 마무리 투수로 등판하기도 했으며, 5월 7일 소프트뱅크전(클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에서는 프로 데뷔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좌타자 상대 원포인트 릴리프로 기용되는 등 역할이 고정되지는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투구를 선보이며 리그 최다인 66경기에 등판했다. 2승 2패 2세이브, 팀 내 최다인 19홀드, 그리고 평균자책점 2.05라는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자신의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다.
2009년에는 개막 이후 주로 중간 계투로 등판했으나, 6월 7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도쿄 돔)에서는 2007년 7월 11일 이후 오랜만에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3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다. 전반기에 평균자책점 2.36의 좋은 성적을 기록한 덕분에 감독 추천으로 프로 데뷔 8년 만에 처음으로 올스타전에 출전하는 영광을 누렸다. 하지만 올스타전에서는 1아웃만을 잡는 동안 3피안타 2사사구를 허용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강판되었다. 이후 후반기 들어 컨디션 난조를 보이며 제구력이 흔들렸고, 좌타자 상대 원포인트로 등판했음에도 볼넷을 내주거나 피안타가 늘어나는 경우가 잦아졌다. 최종적으로는 54경기에 등판하여 전년도 기록을 넘어선 팀 내 최다 20홀드를 기록했지만, 평균자책점은 5.15로 크게 나빠졌다.
2010년에는 개막을 1군에서 맞이하여 시즌 초반 안정적인 투구를 이어갔으나, 부상으로 인한 이탈과 같은 좌완 투수인 가타야마 히로시의 활약이 겹치면서 등판 기회가 크게 줄어들어 13경기 등판에 그쳤다.
2011년 6월 18일 한신 타이거스전(한신 고시엔 구장)에서는 6회말 팀의 세 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크레이그 브라젤을 2루수 뜬공으로 처리했다. 이후 7회말 공격 시작 전 비로 인해 강우 콜드 게임이 선언되면서 2년 만에 세이브를 기록하게 되었다. 시즌 동안 18경기 등판에 그쳤지만, 평균자책점은 1점대를 기록하며 준수한 모습을 보였다.
2012년에는 개막을 2군에서 맞이했다. 6월 3일에 1군에 등록되었고, 이틀 뒤인 6월 5일 한신 타이거스전(클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 9회초에 팀의 네 번째 투수로 등판했으나, 히라노 게이이치에게 밀어내기 볼넷을 허용하자마자 강판되었고 바로 다음 날 2군으로 다시 내려갔다. 이후 시즌 종료까지 1군에 복귀하지 못했고, 결국 10월 2일 구단으로부터 전력 외 통보를 받았다.[13] 같은 해 11월 9일, 클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에서 열린 12개 구단 합동 트라이아웃에 참가하여 현역 연장 의지를 보였지만, 영입을 제안하는 구단이 나타나지 않아 결국 현역에서 은퇴했다.
3. 은퇴 후
구단 직원으로서 라쿠텐에 남았으며, 2013년 1월 27일 라쿠텐 골든이글스 베이스볼 스쿨의 주니어 코치로 취임했다.[2]
2015년에는 라쿠텐 시절 팀 동료였던 키타니 토시미, 시오카와 타츠야와 함께 사회인 야구 팀인 TFU 클럽에 가입하여 팀의 전일본 클럽 야구 선수권 대회 출전에 기여했으며, 본 대회에도 등판했다.[3]
2016년 1월 8일부터 독립 리그인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의 시나노 그란세로즈에 투수 코치로 파견되어 해당 시즌 종료까지 활동했다.[4] 예정대로 시즌 종료 후 퇴단했지만[5], 2017년과 2018년에도 같은 직책으로 다시 파견되었다.[6]
2019년부터는 라쿠텐의 타격 투수를 맡았다.[7]
2020년부터는 라쿠텐 골든이글스 아카데미 코치로 활동하며[8], J SPORTS의 야구 해설자도 겸임했다.
2025년부터는 라쿠텐의 2군 투수 코치를 맡고 있다.
4. 플레이 스타일
구속은 시속 140km 중반대를 꾸준히 기록한다. 투구 폼은 역동적이면서 독특하며, 이러한 특징적인 폼과 예리한 슬라이더의 조합을 주무기로 삼는다. 이 슬라이더는 과거 홈 구장이었던 클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에서 장내 아나운서에 의해 ‘레인보우 슬라이더’라고 불리기도 했다.
주로 사용하는 구종은 슈트, 슬라이더, 포크볼이며, 2006년에는 체인지업을 추가로 습득했다. 이 체인지업은 팀 동료였던 야마무라 히로키를 통해 이가와 게이의 체인지업 그립을 전수받아 자신만의 방식으로 완성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상에 강한 편이며, 다르빗슈 유나 다나카 마사히로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을 만큼 뛰어난 체력을 갖춘 강한 왼팔 투수이다. 라쿠텐 구단 창설 초기 4년 동안 큰 부상으로 인한 이탈 없이 꾸준히 선발 로테이션을 소화하며 매년 많은 이닝을 책임졌는데, 이는 당시 팀 내에서 거의 유일한 사례였다.
5. 에피소드
-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로부터 드래프트 지명을 받았을 당시, 회사 근무 중이어서 거래처를 돌고 있었고 아내는 둘째 딸을 임신 중이었다.
- 오키나와 현립 우라소에 상업고등학교 출신으로는 유일한 프로 야구 선수였으며,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아라카키 나기사는 그의 초등학교 후배이다.
- 평소 오키나와어(우치나 야마토구치)를 사용하여 이야기하며, 특히 토크쇼에서는 재미있는 몸짓으로 많은 사람들을 모았다.
- 긴테쓰 시절부터 매년 춘계 캠프 시작 전에는 미야코섬에서 개인 훈련을 실시했다.
- 노무라 가쓰야 감독을 만난 후 변화 중 하나로 기르던 수염을 깎은 것을 꼽는다. 그의 야구 모토는 "언제나 전력을 다한다"이며, 가을 캠프에서는 다른 선수들보다 큰 구호 소리로 관객들의 박수를 받기도 했다.[9]
- 올스타전에 처음 출전했을 때, 아웃 카운트를 하나만 잡고 강판당하자 긴테쓰 시절 선배인 오무라 나오유키의 말을 듣고 벤치에서 정좌하고 있었다.
- 현역 시절에는 독특한 투구폼에서 나오는 낙차 큰 슬라이더가 주무기였다. 컨디션이 좋을 때는 위력적이었지만, 제구가 불안정하여 한번 흔들리면 볼넷을 남발하며 무너지는 경우가 잦았다. 라쿠텐 소속이던 2011년 8월 17일 세이부 라이온스와의 경기에서는 8회에 등판했으나 선두 타자 아키야마 쇼고에게 볼넷을 내준 뒤 바로 교체되었다. 경기는 무승부로 끝나 그의 투구가 직접적인 패배 요인은 아니었지만, 경기 후 호시노 센이치 감독으로부터 "볼넷을 내주고 어쩌자는 거야. 바보야! 한 명 정도는 제대로 던져!"라며 크게 질책받았다.[10][11]
6. 상세 정보
오키나와현 출신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다. 오키나와현립 우라소에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인 야구팀 다이센과 규슈 미쓰비시 자동차를 거쳐 2001년 드래프트 3순위로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에 입단하며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프로 선수로는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2002년 ~ 2004년)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2005년 ~ 2012년)에서 주로 중간 계투로 활약했다. 특히 라쿠텐 이적 후 2005년에는 팀 창단 첫 완봉승을 기록했으며, 2008년에는 리그 최다인 66경기에 등판하며 팀의 핵심 불펜 투수로 자리매김했다. 2009년에는 올스타전에 처음 출전하기도 했다. 2012년 시즌 종료 후 현역에서 은퇴했다.
6. 1. 출신 학교
- 오키나와현립 우라소에 상업고등학교
6. 2. 선수 경력
우라소에 상업고등학교 졸업 후 사회인 야구팀 다이센과 규슈 미쓰비시 자동차에서 선수로 활동했다. 사회인 야구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2001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에 3순위로 지명되어 프로 무대에 데뷔했다.프로 선수로는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2002년 ~ 2004년)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2005년 ~ 2012년)에서 활약했다. 긴테쓰 시절에는 주로 중간 계투로 등판했으며, 2004년 시즌 종료 후 긴테쓰와 오릭스의 합병에 따른 선수 분배 드래프트를 통해 신생팀 라쿠텐으로 이적했다.
6. 2. 1. 사회인 시대
우라소에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건설회사인 다이센에 입사했다. 하지만 회사 야구부가 해체되면서 1999년에 규슈 미쓰비시 자동차로 이적했다. 2000년에는 훗날 세이부 라이온즈에 입단하는 호아시 가즈유키와 함께 팀의 주축 투수로 활약했다. 호아시가 프로에 진출한 후인 2001년에는 팀의 에이스 투수가 되었다.같은 해, 소속팀 규슈 미쓰비시 자동차는 도시 대항 야구 대회 규슈 지역 예선에서 탈락했지만, 아리메는 닛산 자동차 규슈의 보강 선수로 선발되어 본선에 출전했다. 이 대회 1차전에서 전년도 우승팀인 미쓰비시 후소 가와사키를 상대로 선발 등판하여 호투하며 팀 승리에 기여했다. 이러한 사회인 야구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2001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로부터 3순위 지명을 받고 프로에 입단하게 되었다.
6. 2. 2. 프로팀 경력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2002년 ~ 2004년)2001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오사카 긴테쓰 버펄로스로부터 3순위 지명을 받고 입단했다. 입단 첫 해인 2002년에는 1군 등판 기회가 없었다.
2003년 7월 18일 오릭스 블루웨이브전(오사카 돔)에서 프로 데뷔 첫 등판을 하여 2/3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다. 이후 1군에서 중간 계투나 좌타자를 상대하는 원포인트 릴리프로 기용되었으나, 승리를 기록하지는 못했다. 해당 시즌 성적은 18경기에 등판하여 3패, 평균자책점 7.83을 기록했다.
2004년에는 14경기에 등판했지만, 투구 이닝보다 많은 볼넷을 내주는 등 제구력에 어려움을 겪었다. 시즌 종료 후, 긴테쓰와 오릭스의 합병에 따른 선수 분배 드래프트를 통해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로 이적하게 되었다. 라쿠텐에서는 등번호 '''26'''번을 받았다.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2005년 ~ 2012년)
2005년, 이적 후 첫 등판은 개막 2차전인 지바 롯데 마린스전(지바 마린 스타디움)이었다. 2회부터 구원 등판했으나 연속 안타를 맞고 부진하여 즉시 2군으로 내려갔다(이 경기에서 라쿠텐은 0-26으로 대패했다). 1군 복귀 후 잠시 중간 계투로 뛰다가 7월 17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전(삿포로 돔)에서 선발 등판하여 9이닝 무실점 호투를 펼치며 코칭스태프의 신뢰를 얻었다. 이후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했고, 같은 해 7월 31일 세이부 라이온즈전(인보이스 SEIBU 돔)에서는 9이닝 무실점으로 프로 데뷔 첫 승리를 완봉승으로 장식했다. 이는 라쿠텐 구단 역사상 첫 완봉승이었으며, 아리메 개인적으로도 프로 첫 등판 이후 이어지던 9연패를 끊는 의미 있는 승리였다. 이 해 최종 성적은 37경기(12선발)에 등판하여 3승 10패, 4완투, 개인 최다인 125이닝 투구를 기록했다. 패전이 많았지만, 여름 이후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2006년 8월 25일 롯데전(풀캐스트 스타디움 미야기)에서는 선발 등판하여 연장 12회까지 188개의 공을 던지며 17탈삼진 1실점으로 역투했으나 경기는 무승부로 끝났다. 끈기 있는 투구를 보여주었지만, 시즌 성적은 30경기 2승 6패 4홀드, 평균자책점 4.47로 안정감은 다소 부족했다. 시즌 종료 후에는 아사이 히데키, 카와타 스시와 함께 하와이 윈터 리그에 참가하여 호놀룰루 샤크스 소속으로 뛰었다. 리그 최다 타이인 4승과 리그 최다인 48이닝을 던지며 평균자책점 2.63(리그 4위)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07년에는 개막 선발 로테이션에 포함되어 4월 3일 닛폰햄전에서 시즌 첫 승리를 따냈다. 이는 그 해 라쿠텐 좌완 선발 투수가 거둔 유일한 승리였다. 하지만 이후 선발 등판 경기에서 부진하여 중간 계투로 보직이 변경되었다. 6월 8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도쿄 돔)에서는 다카하시 히사노리를 상대로 중전 안타를 쳐 프로 데뷔 첫 안타를 기록하기도 했다. 7월 11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전(기타큐슈 시민 구장) 선발 등판 이후로는 시즌 끝까지 와타나베 츠네키, 야마무라 히로키, 나가이 레이 등과 함께 중간 계투진의 한 축을 담당하며 팀의 상승세에 기여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52경기 1승 8패 8홀드, 평균자책점 4.17을 기록했으며, 처음으로 시즌 내내 1군에 머물렀다.
2008년에는 개막을 1군에서 시작하지 못했지만, 전년도 많은 경기에 등판했던 와타나베 츠네키의 부진으로 좌완 중간 계투로서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팀에 확실한 마무리 투수가 없는 상황에서 종종 마무리 역할을 맡기도 했으며, 5월 7일 소프트뱅크전(클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에서는 프로 데뷔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좌타자 상대 원포인트 등 다양한 상황에 기용되면서도 안정적인 투구를 선보였다. 이 해 리그 최다인 66경기에 등판하여 평균자책점 2.05, 팀 내 최다인 19홀드 포인트를 기록하며 개인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2009년에는 개막 후 주로 중간 계투로 등판하다가, 6월 7일 자이언츠전(도쿄 돔)에서는 2007년 7월 이후 처음으로 선발 등판하여 3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다. 전반기 평균자책점 2.36의 좋은 성적을 바탕으로 감독 추천을 받아 프로 데뷔 8년 만에 처음으로 올스타전에 출전했다. 하지만 올스타전에서는 아웃카운트 하나만 잡고 3피안타 2사사구를 내주며 부진했다. 이후 후반기에는 컨디션 난조로 제구가 흔들리며 실점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최종적으로 54경기에 등판하여 팀 내 최다인 20홀드 포인트를 기록했지만, 평균자책점은 5.15로 크게 나빠졌다.
2010년에는 개막을 1군에서 맞이하며 안정적인 투구를 보였으나, 부상으로 인한 이탈과 같은 팀 좌완 투수 카타야마 히로시의 활약으로 등판 기회가 줄어들어 13경기 등판에 그쳤다.
2011년 6월 18일 한신 타이거스전(한신 고시엔 구장)에서는 6회말 구원 등판하여 크레이그 브라젤을 땅볼 처리한 후, 7회초 공격 시작 전 비로 인해 강우 콜드 게임이 선언되면서 2년 만에 세이브를 기록했다. 시즌 18경기 등판에 그쳤지만 평균자책점은 1점대를 기록하며 준수한 성적을 기록했다.
2012년에는 개막을 2군에서 시작했고, 6월 3일에야 1군에 등록되었다. 6월 5일 한신전(클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에 9회초 등판했으나 히라노 게이치에게 밀어내기 볼넷을 내주고 강판된 후 바로 2군으로 다시 내려갔다. 이후 1군에 복귀하지 못했고, 10월 2일 구단으로부터 전력 외 통보를 받았다. 11월 9일 클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에서 열린 12개 구단 합동 트라이아웃에 참가했지만, 영입을 제안하는 구단이 나타나지 않아 현역 은퇴를 결정했다.
6. 3. 개인 기록
(내용 없음)6. 3. 1. 투수 기록
- 첫 등판 : 2003년 7월 18일, 대 오릭스 버펄로스 16차전(오사카 돔), 9회초 1사에 4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마무리, 2/3이닝 무실점
- 첫 탈삼진 : 상동, 9회초에 가쓰라기 이쿠로로부터
- 첫 선발 : 2003년 9월 6일, 대 오릭스 버펄로스 25차전(Yahoo! BB스타디움), 3과 1/3이닝 동안 4실점에서 패전 투수
- 첫 홀드 : 2005년 4월 30일, 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7차전(풀캐스트 스타디움 미야기), 6회초에 3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 3이닝 무실점
- 첫 승리·첫 완투·첫 완봉 : 2005년 7월 31일, 대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13차전(인보이스 세이부 돔)
- 첫 세이브 : 2008년 5월 7일, 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8차전(클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 9회초에 3번째 투수로서 구원 등판·마무리, 1이닝 무실점
6. 3. 2. 타격 기록
6. 4. 등번호
- '''13''' (2002년 ~ 2004년)
- '''26''' (2005년 ~ 2012년)
- '''77''' (2016년 ~ 2018년)
- '''100''' (2019년)
- '''94''' (2025년 ~ )
참조
[1]
웹사이트
来季の選手契約に関して
http://www.rakutenea[...]
東北楽天ゴールデンイーグルス 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12-10-02
[2]
웹사이트
【ベースボールスクール】ジュニアコーチに関して
http://www.rakutenea[...]
東北楽天ゴールデンイーグルス 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13-01-27
[3]
웹사이트
第40回 クラブ選手権 本大会 全足利クラブ対TFUクラブ戦
http://www.jaba.or.j[...]
日本野球連盟HP
2016-04-04
[4]
웹사이트
コーチ就任のお知らせ
http://www.grandsero[...]
信濃グランセローズ 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15-01-05
[5]
웹사이트
コーチ退団のお知らせ
http://www.bc-l.jp/t[...]
ベースボール・チャレンジ・リーグ
2016-10-31
[6]
웹사이트
有銘コーチ就任のお知らせ
http://www.bc-l.jp/t[...]
ベースボール・チャレンジ・リーグ
2017-01-12
[7]
웹사이트
2019シーズン チーム体制に関して
https://www.rakutene[...]
東北楽天ゴールデンイーグルス
2019-01-08
[8]
웹사이트
【楽天イーグルスアカデミー】新任コーチに関して|東北楽天ゴールデンイーグルス
https://www.rakutene[...]
[9]
뉴스
河北新報「週刊イーグルス」
2007
[10]
뉴스
星野監督激怒 四球の有銘に「バカヤロウ!」
https://www.sponichi[...]
Sponichi Annex
2011-08-18
[11]
문서
[12]
문서
[13]
웹사이트
관련 내용
http://www.rakutenea[...]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공식 홈페이지
2012-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